728x90
반응형
안녕하세요! CodingLog의 우동이입니다.
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으로 백준 공부하기입니다.
단계 | 문제 번호 | 제목 | 티어 |
1 | 2739 | 구구단 | bronze 3 |
2 | 10950 | A+B - 3 | bronze 3 |
3 | 8393 | 합 | bronze 3 |
4 | 15552 | 빠른 A+B | bronze 2 |
5 | 2741 | N 찍기 | bronze 3 |
6 | 2742 | 기찍 N | bronze 3 |
7 | 11021 | A+B - 7 | bronze 3 |
2739.
N을 입력받은 뒤, 구구단 N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됩니다. (1≤ N ≤ 9)
# 구구단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1,10):
print(n, end=' ')
print("*",end=' ')
print(i,end=' ')
print("=",end=' ')
print(n * i)
10950.
N을 입력받은 뒤, N의 개수만큼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됩니다.(0 <A, B <10)
# A + B - 3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n):
a,b = map(int,input().split())
print(a+b)
8393.
N이 주어졌을 때, 1부터 N까지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됩니다. (1≤N≤10,000)
# 합
n = int(input())
sum = 0
for i in range(1,n+1):
sum += i
print(sum)
15552.
Python을 사용하고 있다면, input 대신 sys.stdin.readline을 사용할 수 있다.라는 조건 이 있는데 이유는 T의 최대가 1,000,000이기 때문에 input()으로 읽는 속도로는 타임 에러가 나옵니다.
# 빠른 A+B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;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n):
a,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+b)
2741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1부터 N까지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됩니다.
# N 찍기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1,n+1):
print(i)
2742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부터 1까지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됩니다.
위에랑 같은 코드보다는 range에 reversed를 사용하면 뒤에서부터 1까지 i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# 기찍 N
n = int(input())
for i in reversed(range(1,n+1)):
print(i)
11021.
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됩니다.
출력마다 Case #n: "를 출력한 다음, A+B를 출력하면 됩니다.
# A+B-7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1,n+1):
a,b = map(int,input().split())
print("Case #"+str(i)+":",end=' ')
print(a+b)
728x90
반응형
'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차원 배열] 파이썬으로 해결하기 (0) | 2022.04.13 |
---|---|
[반복문] 파이썬으로 해결하기 (0) | 2022.04.06 |
[조건문] 파이썬으로 해결하기 (0) | 2022.04.06 |
[조건문] 파이썬으로 해결하기 (0) | 2022.04.04 |
[입출력과 사칙연산] 파이썬으로 해결하기 (0) | 2022.04.0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