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CodeingLog의 우동이 입니다.
이번 시간에는 Express 설치 및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.
NPM이 먼저 설치되어야 하는데 안되어있으면 밑에 URL의 내용을 먼저 하세요!
https://woosung9801.tistory.com/3?category=1002257
M1 Mac Node.js 개발자 초기 설정
Mac m1칩 Homebrew 설치 1. 터미널에 밑에 글을 복사후 붙여넣기 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 로 먼저 brew를 설치해줍니다. https://for..
woosung9801.tistory.com
1. Express 모듈 설치
우선 Express는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역으로 설치해야 합니다.
여기서 전역이란? (시스템의 node_modules 폴더에 설치해 터미널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!)
터미널 진입을 하고 아래 명령으로 Express를 설치합니다.
npm install express-generator -g
2. 프로젝트 생성 및 실행
개발을 하기 전에는 무조건 프로젝트를 생성해줘야 합니다.
밑에 명령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.
ex) express --view={템플릿 엔진} {프로젝트명}
express --view=ejs example
생성이 되었다면 아래 명령어로 vscode로 진입을 합니다.
code example
진입을 하고 command + j (⌘ + j)를 누르면 터미널 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
실행하기 전에 npm install을 해줘야 합니다.
npm install
이유는 node_modules가 다운로드가 되지 않아서 인데 항상 실행하기 전에는 npm install을 해줘야 합니다.
아래 명령어를 실행해 줍니다.
npm start
실행이 되면 터미널 창에 아래처럼 실행이 됩니다.
그러면 인터넷 창에 localhost:3000으로 진입하면 간단하게 프로젝트가 생성 및 실행이 됩니다.
이상으로 Express 설치 및 프로젝트 생성 및 실행을 마치겠습니다.
'Node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 js]간단하게 배우는 동기, 비동기의 차이 (0) | 2022.03.02 |
---|---|
[Node js]Passport js가 이렇게 쉽다고 ? (2) (0) | 2022.02.22 |
[Node js]Passport js가 이렇게 쉽다고 ? (1) (0) | 2022.02.22 |
[Node js]PBKDF2-PASSWORD로 비밀번호 암호화 하기 (0) | 2022.02.05 |
[Node js]Node.js 개발자 초기 설정 (0) | 2022.02.04 |
댓글